국립무형유산원에서 시행하는 「무형문화재 전수교육학교」 제도는 전통의 맥을 이어가려는
학생들에게무형문화재 이수 교육을 실시하여 전통미술공예분야의 우수 전승자를 양성할 뿐만 아니라,
본 과정을 이수하는학생에게 무형문화재 이수자 자격심사 조건을 갖추게 함으로써 새로운 진로모색에 기여하고자 한다.
국립무형유산원 무형문화재 전수교육학교로 지정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공예미술학과에서 전수교육을
3개학년 21학점 이상 받은자(수료자)에 한해 전통예능 및 전통기술 이수심사 자격을 부여한다.
전통미술공예분야의 특화된 학과로써, 우수한 교수요원의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체계화된
교육과정 통해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우수한 전승자 양성한다.
필수과목
기초물레성형Ⅰ
물레를 이용한 전통도자 기물성형의 기초과정 실습
도자재료연구
전통도자 재료 중 점토, 유약, 장식재료 등 재료의 특성을이해하고 조성, 활용과정 실습
청자
전통청자 무형문화재 및 장인과 협업 과정을 통하여기물성형, 도구제작, 장식, 재료, 번소 등 청자 제작과정 실습
백자Ⅰ
전통백자 중요무형문화재 및 장인과 협업 과정을 통하여기물성형, 도구제작, 장식, 재료, 번소 등 백자 기초과정 실습
분청사기
전통분청사기 무형문화재 및 장인과 협업 과정을 통하여기물성형, 도구제작, 장식, 재료, 번소 등 분청사기 제작과정 실습
전통도자원형연구 Ⅰ
청자, 분청사기, 백자, 옹기 등 전통도자 유물의 원형 연구를통하여 기물을 재현하는 과정 실습
선택과목
도자사
한국도자사 전반에 대한 문화교류사적, 미술사적 흐름과가치를 학습하여 창신의 토대로 형성
전통도자제작기법
전통도자 제작기법 중급과정으로 기물성형, 재료활용 문양,시문기법, 도구활용, 시유, 번조방법 등을 실습
전통도자채화기법
전통도자 시문기법 중 코발트, 철, 동 등 고화도 금속산화물을 활용한 하회문양 시문과정 실습
백자Ⅱ
전통백자 중요무형문화재 및 장인과 협업 과정을 통하여기물성형, 도구제작, 장식, 재료, 번소 등 백자 심화과정 실습
전통도자문양워크숍Ⅰ,Ⅱ
전통도자의 제작 기술력 확장을 위해 몰드제작, 문양시문,상형기법, 조형기물, 가마번조 등 특정 제작기술을 중심으로한 전수과정 실습
※본 전시에 작품사진은 ‘안국동 별궁’에서 촬영하였습니다